본문 바로가기

본과19

Medical student 본과 3학년 - 11주차 외과 중환자실 (Surgical Intensive Care Unit) 실습일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외과 중환자실 실습 일기를 남겨보겠습니다. 외과 중환자실은 외과 환자들을 위한 중환자실로 major surgery를 받고 병동으로 가기 전 vital sign의 monitoring이 필요한 경우 내원하게 됩니다. 처음 외과 중환자실에 방문했을 때는 이른 아침이였는데 몇몇 빈 자리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외과 중환자실은 환자가 많지 않구나" 라는 생각을 하였는데 이는 저의 오해였습니다. 코로나로 인해 병원 인력 부족으로 병상을 줄이기는 했지만 아침에 빈 자리는 수술을 받은 환자들로 오후에 채워졌습니다. 또한 중환자실의 환자분들의 경우 매시간마다 신체 징후를 체크해야하기 때문에 의료인력들이 더욱 많이 필요한 곳이였습니다. 중환자실에는 다양한 환자분들이 계신데 각각 마다 영양을 섭취하는 방.. 2022. 5. 29.
Medical student 본과 3학년 - 9주차 유방외과(Breast Surgery) 실습일기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1주일동안 유방외과 실습을 하면서 느낀점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실습을 하면서 교수님께서 가장 많이 하신 질문은 "이 환자분 왜 이 수술을 하나요?" 였습니다. 제가 파악한 환자 정보를 바탕으로 "환자분 ~ 질환으로 ~ 수술 하게 되었습니다." 라고 말씀드렸습니다. 그러면 이어서 교수님께서는 "~ 질환의 진단기준이 무엇인가요?", "~수술의 적응증이 무엇인가요?"와 같은 질문을 하시면서 더욱 깊게 지도 해주셨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궁금한 점을 찾아보기 위해 NCCN guideline도 참고하고, 논문도 참고하였습니다. 또한 제가 찾지 못한 부분에 대해서는 교수님께 질문드리는 시간도 가졌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의사에게 decision making이 정말 중요함을 깨달았고.. 2022. 5. 29.
Medical student 본과 3학년 - 8주차 간담췌외과(Hepato-Biliary-Pancreatic Surgery) 실습일기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간담췌외과 실습 후기에 대해서 정리하겠습니다. 간담췌외과는 다른 과들과 비교해서 수술 시간이 긴 수술들이 많았습니다. 체력이 조금더 많이 필요하긴 했지만 교수님들께서 정말 친절하게 대해주셔서 마음은 많이 힐링할 수 있었습니다. 간담췌외과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었던 수술은 cholecystectomy로 담낭절제술 입니다. 이 수술에서 중요한 구조물은 Calot's triangle로 cystic duct, cystic artery, common hepatic duct로 이루어져있습니다. 수술을 할 때 이 구조물을 확인하고 또 다른 혈관은 없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담낭을 절제한 후 복부 밖으로 꺼내고 이를 절개하여 안에 담석이 있는지도 확인하였습니다. specimen에 대.. 2022. 5. 29.
Medical student 본과 3학년 - 혈액내과(Hematology) "Vitamin B12 deficiency anemia" Vitamin B12 deficiency anemia에 대해서 정리하겠습니다. Vitamin B12는 다른말로 cobalamin이라고 하고 동물성 단백질에서 섭취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 입니다. 몸에 저장되어 있어 5년간 섭취하지 않아도 부족 증상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Vitamin B12는 위에서 생성되는 intrinsic factor에 의해 ileum mucosa로 흡수되어 전신으로 이동합니다. 장내에 문제가 생겨 vitamin B12 흡수에 장애가 생기면 그로 인한 빈혈이 생기게 됩니다. Megaloblastic anemia의 대표적인 원인으로 vitamin B12 deficiency와 folate deficiency가 있습니다. Vitamin B12 deficiency의 원인은 다양합니다. pe.. 2022. 4. 15.
Medical student 본과 3학년 - 신장내과(Nephrology) 상염색체 우성 다낭신증(ADPKD)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상염색체 우성 다낭신증(Autosomal dominant polycystic kidney disease, ADPKD)에 대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ADPKD는 가장 흔한 유전적 질환으로 400~1000명 중 한명 꼴로 나타납니다. ESKD의 흔한 원인으로 대부분 30~50대 성인에게 증상이 나타납니다. ADPKD 환자의 1/2은 60대에, 3/4는 70대에 ESKD에 도달합니다. ADPKD는 genetic heterogeneity를 가진 질환으로 관련 유전자는 PKD1, PKD2입니다. PKD1이 85~90%이고, PKD2가 10~15%에 해당합니다. PKD2에 의한 ADPKD가 더 경하고, 고혈압이 적게 발생하며, ESKD에 늦게 도달합니다. ADPKD는 2 hit model로.. 2022. 3. 23.